주식 매수 전 꼭 봐야 하는 기초 재무제표 오늘은 PER을 소개합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맛도 훌륭한 스테이크, 비싼데 맛없는 스테이크. 둘 중 어떤 선택을 할 지는 답이 뻔하죠? PER은 이렇게 흔히 저평가, 고평가주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PER 뜻, 계산법, 보는법 주의사항 공식을 총정리했습니다.
투자자라면 누구나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해 큰 수익을 얻고 싶을 겁니다.
PER만 잘 봐도 수익 낼 확률은 몇 배 증가합니다..
PER 뜻

PER이란?
주식 소식이나 경제 소식에서 ‘PER이 몇 배다’, ‘PER 대비 어쩌고’ 등등 문장을 접해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PER은(주가수익비율) 기업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어느 정도 인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이를 통해 한 기업의 가치, 그리고 적정 가치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가=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가격
- EPS= 주당 순이익으로 회사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의 총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식 EPS 뜻과 보는법 5가지 총정리(ft. 높을수록 좋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눴기 때문에 주가가 올라가면 자연스레 PER은 올라가겠죠? 반대로 주가가 내려가면 PER은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PER이 낮으면 저평가주, 높으면 고평가주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
예를 한 번 들어봅시다. A회사의 주가가 100,000원이고 EPS가 10,000원이라면 이 회사의 PER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 10만원/1만원=10
이를 매번 계산 해야 하냐? 절대 아닙니다. 일반 투자자는 PER뜻이 무엇 인지만 알면 충분합니다.
우리에게 더 중요한 거는 PER을 확인하고 실제 투자에서 어떻게 활용하느냐 입니다. PER 보는 사이트에서 수치를 참고하세요.
PER이 주식에서 중요한 이유
가치평가
이 지표를 통해 우리는 이 기업의 주가가 고평가 됐는지, 저평가 됐는지 알 수 있습니다. 주식이 회사의 이익 대비 얼마나 높게, 혹은 낮게 거래 되고 있는지 알 수 있죠.
- PER 높을수록: 주식 고평가 되었거나, 투자자들이 미래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을 때 나타난다.
- PER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 되었거나, 회사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 될 때 나타날 수 있다.
동종 업계와 비교
동일 업종 내 다른 회사를 두고 매수를 고민하는 경우 많죠? 기업 평판이나 전문가들의 의견도 좋지만, 애매하면 지표를 보는 게 빠릅니다.
이 때 기업 간의 PER을 비교해보면 어떤 기업이 앞으로 수익 낼 가능성이 높은지 판단 하는데 도움이 될겁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은 PER 낮을수록 무조건 좋은 주식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PER을 볼 때 PER만 봐서는 안됩니다.
그럼 어떤 것을 또 고려해야 할까요?
PER 보는법
한 가지 사례를 보고 갑시다. 사과하면 떠오르는 기업. 애플 아시죠?
2020년 코로나 기간 동안 애플 PER은 업종 대비 높게 유지된 바 있습니다. PER이 높을수록 주가가 고평가 돼 있다고 했죠?
하지만 당시 전문가들은 애플 브랜드 경쟁력과 재무 건정성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당시 애플의 성장 가능성은 높은 PER을 정당화 하는 요소로 작용 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단순히 PER이 높은지 낮은지만 따져서는 안된다는 점을 느낄 수 있습니다.
PER을 볼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경제사이클:경기 순환에 따라 PER도 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확장기에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업종별 차이: 업종마다 PER 계산법, 즉 저평가로 볼 수 있는 범위가 다릅니다. 고성장 분야는 보통 PER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처럼 말이죠.
- 기업 특수상황: 인수 합병, 기업 구조조정, 특별 손익 요소 등 기업 특수 상황이 PER을 왜곡할 수도 있습니다.
PER 계산법 공식을 확인 했겠지만, 단일 지표만 보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꼭 다른 재무제표를 함께 참고하도록 하세요.
이익이 지속 가능한 원천에서 오는 것인지 단발성 사건인지 꼭 확인 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왜곡된 PER은 오히려 투자에 나쁜 영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E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주로 봐서도 안됩니다. 이미 경쟁에서 뒤처지거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PER 정리 요약
PER=현재주가/ 주당순이익(EPS)
EPS는 쉽게 말해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느냐’ 뜻으로 이해하세요.
PER 보는법 주의사항으로 해석할 때는 순이익과 상대평가를 고려하세요.
- 순이익이 높아지면 현재 PER이 높아도 고평가 됐다고 단정 짓기 힘들다.
- 일반적으로 바이오는 고PER, 음식료 산업은 저PER이다. 동일 업종 내에서 수치를 비교할 것.
PER이 높은 기업으로는 성장성이 높은 IT기업도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단편적인 시점만 볼 게 아니라 분기별, 년도 별 추세를 꼭 환인 하셔야 정확히 수치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잘 정리 돼있으니 참고하세요.